단군 조선을 동아시아의 타 나라 사례에 비유하면 이렇다. ‘황제 지나', ‘천황 니폰', ’호앙데 비엣’, ‘칸 몽골리아‘와 같은 것이다. 이 중 몽골리아, 일본, 중국에서 동이족이 있기에 이들은 우리와 친연성이 다소 높다. 근대 유럽에서 들어온 지식을 들어 비유하자면 '합스부르크 오스트리아'라고 부르는 것과 비슷하다. 국가가 특정 가문에 의해 사유화 되는 것이다. 지배자 칭호를 국가 앞에 붙여쓰는건, 옛날 일본인이 근세 조선을 '이조 조선'이라고 부른 것과 다를 바가 없다. 그만큼 우리 한민족의 국력이 최고조(제국 체제)에 달하면 도달할 수 있는 국가 체제라는 것이다. 과거 이러한 시기는 강성함이 보통이 아니었으리라 본다. 거의 신인과 선인에 달하는 사람들이 지도층에 있었다.
단군도 실제로 47명에 달하며 역사이지만, 이러한 명칭은 ‘지배자(Overlord)’ 위주라는 점에서 민주화 시대에 걸맞지 않다고 생각이 든다. 다시 조선을 '제정일치 천자국'으로 재건하려는 시도가 아니라면 말이다. 이는 조선을 엄연히 동북아시아 패권국으로 복권하자는 강한 동기가 있어야 가능하다. 그 시작은 아주 작은 일 하나에서 비롯되지만, 실제론 섬세하고도 정교하게 다뤄져야 한다. 그냥 인문학적인 글로는 부족하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과학 모형이어야 힘이 있다.
한편으로 우리 사람들이 사는 세상에서 기독교 문명으로 무장하고 미국 문명과 유럽 문명을 이끄는 이들도 있고, 공산주의 이론으로 전 국민을 세뇌시킨 중국 공산당도 있고, 천황 만계일세로 사상적으로 무장한 일본 문명도 있다. 이슬람으로 서아시아를 휩쓴 문명은 어떠하며, 정교회로 동유럽과 러시아를 휩쓴 문명은 어떠하며, 불교로 동남아시아를 휩쓴 문명은 어떠하며, 정령 신앙으로 오레이니아를 휩쓴 문명은 어떠한가. 우리도 중국과 일본 사이에서 단군을 역사로서나 종교로서 섬기지 않는다면, 주변국의 문화 침식(文化侵蝕; Cultural Erosion)으로 한민족 고유의 정체성이 사라질지 모른다는 염려도 들지 않는게 아니다. 실로 국가 정체성과 고유 문명의 지위를 다루는 사안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내 성향이 지금은 좌파 자유주의 스펙트럼의 정치 성향이라지만, 당장 내가 발딛고 있는 나라가 사라지만 아쉬움과 슬픔이 크리라 본다. 이미 배달 겨레의 역사를 돌이켜보면, 가락(가야)와 백제(쿠다리) 유민들은 한땅을 떠나갔다. 특히 백제 유민들은 <<일본서기>>에 '조상의 무덤을 떠나 다시 들어오지 못하니, 이 얼마나 슬픈 일인가'라는 맥락의 기록을 공동연대 7세기(단기 31세기)에 문헌에 적어뒀다. 고구리 유민들은 어떠한가. 부흥 운동으로 대진국을 세웠다 하지만, 이미 지도층을 비롯한 핵심 인재들이 당의 각지로 끌려가고 일부는 서역, 막북, 왜 열도 등지로 간 이후라 새로운 나라 시작이 힘들었다.
그럼에도 우리 민주주의에 맞는 우리 고유의 사상이라면, '홍익 민주주의(가칭)'의 이론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 이른 시기에는 이미 귀족 민주주의의 형태로 우리 배달 겨레에 있어 민주주의는 있었다. 부여에는 오가 체제, 고구려는 오부 체제, 백제는 정지암 체제, 신라는 화백 체제, 가야는 구지봉 체제 등이 있었다. 몇 차례씩 귀족 공화정이 세워졌지만, 지금 모인 생각으로보면 왕정 체제가 강하게 남았다 본다. 존비어 체제가 수천 년간 이어진거 보면 더 그런 생각이 들게한다.
한국 역사에서 '민회'의 존재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동학의 집강소가 가장 근대에 밀접하며, 조금 더 뒤에는 독립협회가 맞닿는다. 근대는 시민들의 자각과 각성이다. 이는 강제로 주어지는 게 아니라, 스스로 쟁취하는 것이다. 각자 이해를 주장하는게 아닌 합의에 따른 결정으로 만사를 처리하는 방식이어야 한다. 이러한 이론 틀에 있어서 내 스스로도 깨우치질 못하는데, 어떻게 남에게 얘기를 할 수 있겠는가 자문해본다. 항상 세상 이치가 그런 것이다.
다시 본지로 돌아간다면 유럽사에서 우리 단군 조선은 이런 말과 같다. 지배자 왕조를 앞에 붙여 ’브란덴부르그 프러시아‘, 그리고 ’튜더 브리튼'과 같은 사례가 되겠다. 계급 의식이 뚜렷한 과두정에서는 합리화되겠으나 민주주의는 그런 게 아니다. 차라리 '고대 조선'처럼 이도상이 지은 <<한국 고대사 바꿔 써야 할 세 가지 문제>>에서 창안된 개념도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민주주의 사회에 걸맞는 개념이라면 나라 차원에서 역사 용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역사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테르의 오페라 《중국 고아》에 삽입된 고려인 구절 (0) | 2023.02.23 |
---|---|
《신단민사》 차례 (0) | 2023.02.19 |
《신단민사》 서문 (2) | 2023.02.19 |
서력 2023년(단기 4356년)까지 이어지고 있는 조선총독부 역사관 학맥 (0) | 2023.02.15 |
[갈무리] 문화재청 자유게시판 - 《경상남도사(慶尙南道史)》연표 왜국 식민지 임나 정설화 정체성 저해 삭제 필요 (2) | 2023.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