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한국 2

파이썬 코드로 한국이 가진 오방색을 나타내는 방식

import tkinter as tkfrom tkinter import ttk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from matplotlib.backends.backend_tkagg import FigureCanvasTkAgg# 오방색의 RGB와 CMYK 값 정의obang_colors = {    "Blue": {"RGB": (0, 66, 119), "CMYK": (1, 0.44, 0, 0.53)},    "Red": {"RGB": (255, 0, 0), "CMYK": (0, 1, 1, 0)},    "Yellow": {"RGB": (255, 223, 0), "CMYK": (0, 0.13, 1, 0)},    "White": {"RGB": (255, 255, 255), "CMYK": ..

내셔널 지오그래픽 유투브에서 본 한대(漢代) 만리장성과 훈족

URL: https://www.youtube.com/watch?v=quLhkqwtOg8 18분 51초부터 22분 25초까지 내용에서 발췌한 일부 자료다. 갈무리 사진 1. 서부의 만리장성 토축의 흔적 고비사막 근처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남은 만리장성의 흔적이다. 영상으로 미루어보아 드론으로 찰영한 것으로 보인다. 갈무리 사진 2. 캐나다 고고학자 앨런 마카의 설명이 이어진다 황토와 짚을 층층이 쌓아 성벽으로 구현했다. 이 구조물의 주체는 하화족이다. 캐나다 출신으로 내셔널 지오그래픽 재단 후원을 받아 학술 연구를 하고 있는 고고학자 앨런 마카(Allan Maca)의 설명이 덧붙여진다. 갈무리 사진 3. 지푸라기를 가리키는 앨런 만리장성의 원형을 들여다보니, 그 안이 짚이 꽤 있다. 이 지푸라기를 자연 과..

고고글 2023.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