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글

『대진제국기 : 북풍의 검, 바다의 매』 역사소설 Syntax 강화본 (Plaintext Narrative)

해머슴 2025. 4. 5. 06:11

1. 장안의 그림자, 잉크로 피를 쓴 동생

대문예, 장안에서 유학 중인 무왕의 동생은 당 조정과의 협치를 강조하는 이상주의자로, 형 대무예에게 서신을 보낸다.


그러나 이 서신은 당 정보기관에 의해 감시되고, 무왕은 그 안에서 당의 손에 길들여진 정치적 피리소리를 감지한다.

> “장안의 햇빛은 너그럽되, 그늘은 형님의 칼을 삼킬 수 있소.”

2. 검열과 암살, 형제의 비극이 시작되다

무왕은 형제애보다 대진국의 존엄을 택한다. 비밀리에 장안을 향한 ‘고구려식 그림자’를 보내고, 대문예는 서교의 밤 속으로 사라진다.


당은 이를 빌미 삼아 외교전에서 발해를 야만국으로 낙인찍고, 북방 흑수말갈과 비밀 동맹을 맺는다.

> “칼은 피를 묻지 않으면 증명이 되지 않는다.”

3. 흑수의 이빨, 제국의 외교는 약탈로 말한다

흑수말갈은 당의 지원을 등에 업고 북방 변경을 불태우기 시작한다.

 

발해의 산간마을, 변경 성루, 물류마차가 습격당한다.

 

무왕은 침묵 속에서 적의 동선을 연구하고, 조국의 분노를 재촉음(再促音)처럼 울린다.

4. 의무려산 회의, 나라의 칼을 뽑다

신성한 산, 의무려산 깊숙한 전당에서 대진의 운명을 가를 회의가 열린다.

 

무왕은 장군 대흠무, 수군제독 장문휴, 귀족단에게 대문예의 죽음, 흑수의 배신, 당의 기만을 낱낱이 밝히며 전면전에 돌입할 것을 선언한다.

> “그들은 우리에게 황제를 요구했지만, 우리는 조국을 선택한다.”

5. 등주의 새벽, 검은 매가 바다를 찢다

장문휴는 박작성에서 치밀한 수개월 작전을 준비한 끝에, 등주를 향해 출항한다.


발해 수군은 새벽의 물살을 가르고, 등주의 항구는 순식간에 불의 장송곡에 휩싸인다.

> “이 바다는 발해의 것이요, 이 불은 조국을 위한 성화다.”

6. 허수아비 본대, 당의 군대는 늘 늦다

당 육군 본대가 등주에 도착했을 때, 장문휴는 이미 철수한 뒤였다.

 

허위 신호, 유령 함대, 교란 전술—당은 혼란에 빠진다.

 

이는 무왕이 마도산까지 진격할 시간을 선물한 전술적 대성공이었다.

7. 마도산 진격, 대진의 육군이 제국을 향하다

발해 육군은 산해관을 돌파해 당의 심장부로 진격한다.

 

산동과 산서의 경계, 마도산 고지에 군진을 형성하고 당 군대와 대치한다.

 

이곳은 대진의 독립을 알리는 제단이자, 당 제국의 숨통을 겨누는 단검이었다.

> “우리는 돌아온 고구려다. 마도산에서 기다리겠다.”

8. 북방의 바람, 외교에서 전쟁으로

무왕은 마도산을 고립 거점으로 삼고, 북방에서는 흑수말갈에 대한 보복 작전에 착수한다.


“회유란 문명의 방식이요, 배신에 대한 해답은 아니다.”

 

당의 외교망은 조각나기 시작하고, 말갈 내부에는 균열이 생긴다.

9. 고구려의 심장이 다시 뛴다

무왕은 등주 기습과 마도산 대치를 전 세계에 선포하며, “대진은 사라진 나라가 아닌, 살아 있는 나라다”라고 외친다.

 

대진은 해양 패권과 북방 육군의 균형 전략을 완성하며, 단순한 계승국을 넘어 ‘동북아 해륙합일제국’으로 떠오른다.

> “형제의 피, 바다의 불, 산의 칼이 우리를 하나로 묶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