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글

국정원 전신(precursor; 前身)로 지위가 인정되는 대한제국 익문사

해머슴 2025. 6. 15. 14:33

그림 1. 서력기원 19세기에 기존까지 알려진 세계전도(세계지도)를 지니고 비밀정보를 검토 중인 제국익문사 요원

 

제국익문사(帝國益聞社)는 일제 강점기와 그 이전 독립운동사 속에서 상대적으로 베일에 싸인 조직 중 하나로, 연구가 제한적이고 구조적으로 은폐된 영역입니다. 아래에 그 실체 규명과 박물관·국가기관 전신으로서의 인정 경로를 구조화하여 정리드립니다.

📌 1. 제국익문사란 무엇인가?

  • 의미와 정체성:
    ‘익문(益聞)’은 ‘유익한 정보를 듣는다’는 뜻으로, 정보수집과 정치활동, 대외선전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한 비밀 조직이었습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고종 황제의 비밀 외교 전략 및 언론전 기능의 일환으로 설립된 것으로 보이며, 독립운동 기획, 정보 수집, 외교 공작을 수행했습니다.
  • 설립 시기:
    1900년대 초~일제 강점기 초반으로 추정
    → 대한제국 시기부터 활동
  • 조직 구성원:
    • 양기탁, 장지연, 유길준 등의 계몽파 인사들과 연결
    • 헤이그 특사 파견, 비밀 언론전 등에 관여했다는 설도 있음

📌 2. 어떻게 연구되었는가?

① 제한된 사료

  • 공식적으로 국사편찬위원회, 독립기념관,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등에서도 상세 기술이 부족
  • 주로 민간 독립운동 연구가나 사설연구소에서의 단편적 연구가 많음
    • 예: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 등에서 언급

② 관련 문헌

  • 『한국 비밀결사운동사』, 『독립운동가 자료집』 일부 권
  • 고종 밀사 관련 비밀외교사료, 미주지역 독립운동 언론 활동 관련 자료에 간접적 언급 존재

③ 복원 시도

  • 2010년대 이후 학계 일각에서 “대한제국 시기 첩보-언론-외교 복합 조직”으로 접근
  • 대한민국 정보기관 전신 논의에서 재조명됨

📌 3. 박물관 및 전시 구축

① 공식 박물관은 아직 없음

  • 독립기념관,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등에 단편적 언급만 존재
  • 단독 박물관은 미설립

② 일부 전시 사례

  •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서울 용산):
    • 2021년 개관, 비밀 외교 활동 코너에서 관련 단체 간접적 언급
  • 민주인권기념관(옛 남영동 대공분실) 등에서
    • "정보기관의 기원과 변천사" 흐름 속 간접 언급 가능

📌 4. 국정원 전신으로의 인식

① 국정원의 자의적 계보 설정

  • 국가정보원은 2003년부터 자사 홈페이지에 ‘국정원 연혁’ 소개에서
    • 광복군 정보대, 국방경비대 정보과, 중앙정보부 등을 전신으로 인정
    • 최근에는 "제국익문사"를 대한제국 시절 정보조직의 시초로 언급하기도 함

② 박물관·홍보 콘텐츠에서의 등장

  • 국정원 산하 정보사박물관(구 안기부 홍보관)
    • 19세기 말~20세기 초 첩보 활동의 기원 항목에 "제국익문사" 언급됨

📌 5. 과제와 전망

과제설명
사료 수집 러시아·중국·프랑스 외교문서, 고종 외교 관련 비밀문건 탐색 필요
법제화 국정원법 상 "역사적 전신"으로서의 인정 조항이 미비함
교육적 복원 고교 역사 교과서에 전무함. 시민사회와 협력하여 서술 확장 필요
박물관 설립 또는 기획전 필요성 독립기념관 또는 별도 “정보독립운동관” 설립 시 적극 반영 필요
 

📝 결론 및 제안

“제국익문사”는 단순한 역사 조직이 아니라, 대한제국 말기 고종 황제의 국가 생존 전략으로써 독립외교·비밀정보·국제언론전의 삼중 기능을 수행한 조직입니다. 이 조직은 오늘날 국정원·국방정보사령부 등 정보기관의 역사적 뿌리로 재정립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사료 복원과 박물관 건립이 절실합니다.”